티스토리 뷰


목차


    여름철, 특히 7~8월 폭염 기간에는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고온으로 인한 질환을 겪습니다.

    그중에서도 열사병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온열 질환입니다.

    오늘은 사람들이 자주 묻는 "열사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어떻게 응급처치하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요?" 등의 질문에 대해 종합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열사병 증상과 응급처치

     

     

    열사병 

     

    열사병은 체온조절 기능이 마비되며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급상승하고, 의식장애나 신경학적 이상까지 나타나는 응급 질환입니다. 땀 배출이 제대로 되지 않아 체온을 식히지 못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열사병 vs 일사병

     

    • 일사병: 땀을 많이 흘리고 탈수 증상이 동반되며, 주로 어지럼증이나 근육 경련이 나타납니다.
    • 열사병: 땀이 거의 나지 않으며, 의식이 혼미해지고 생명에 위협이 됩니다.

     

    열사병의 주요 증상

     

    • 고열 (체온 40℃ 이상)
    •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 (땀이 나지 않음)
    • 현기증, 두통, 혼란, 의식 저하
    • 호흡곤란, 맥박 이상
    • 구토, 발작, 경련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고, 의료적 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열사병 응급처치 방법

     

    의료진이 도착하기 전까지 다음의 응급처치를 시행하세요.

     

    1. 환자를 즉시 그늘이나 시원한 곳으로 옮깁니다.
    2. 의복을 벗기고 시원한 바람이나 찬 물수건으로 체온을 낮춥니다.
    3. 얼음팩을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 대어 체온을 떨어뜨립니다.
    4. 환자가 의식이 있을 경우, 시원한 물을 조금씩 마시게 합니다.
    5. 절대 혼자 두지 말고 상태를 계속 확인하며 119를 기다립니다.

     

    열사병 예방법

     

    • 무더위 시간대(오전 11시~오후 4시) 외출 자제
    • 외출 시 모자 착용, 밝은 색 옷, 선크림 사용
    • 수분을 충분히 섭취 (갈증 느끼기 전에도 마시기)
    • 실내에서는 에어컨이나 선풍기 활용, 자주 환기
    • 고령자, 만성질환자, 어린이는 더욱 주의 필요

     

    Q. 열사병은 땀이 나지 않나요?

    A. 네, 열사병은 땀 배출이 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하고 뜨겁습니다. 이것이 일사병과의 큰 차이점입니다.

     

    Q. 열사병은 누구에게 위험한가요?

    A. 노인, 어린이, 만성질환자, 야외 작업자, 운동선수 등이 열사병에 특히 취약합니다.

     

    Q. 에어컨 없는 집에서 어떻게 예방하나요?

    A. 낮 시간에는 외출을 삼가고, 선풍기와 젖은 수건, 물 샤워 등으로 체온을 조절하세요. 무더위 쉼터 이용도 고려해 보세요.

     

     

     

    열사병은 단순한 더위로 치부하기엔 위험한 질환입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누구나 주의해야 하며,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가장 확실한 대응 방법입니다.

    가족, 이웃과도 열사병 정보를 공유하여 모두가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요.